본문 바로가기
운동 손상학

손목, 손, 손가락의 손상학 (1)

by 초이트 2022. 9. 3.
반응형

손목, 손, 손가락의 대한 상해는 크고 정교한 운동 동작의 손상을 포함한다. 이러한 신체 부위에 대한 손상 후 선수의 기능장애는 스포츠, 포지션, 상해를 입은 손의 주 사용 여부에 달려있다. 
 
임상해부학
요골과 척골의 원위부는 8개의 수근골, 5개의 중수공, 14개의 지골로 손목, 손, 손가락을 형성한다. 독특한 형태와 불규칙한 표면을 가지며, 수근골은 두 줄로 나열되어 있다. 요골에서 척골면으로 근위부 줄은 주상골, 월상골, 삼각골, 두상골로 구성되어 있다. 원위부 줄은 대능형골, 소능형골, 유두골, 유구골로 구성된다. 주상골은 수근골에서 골절이 가장 많은 부위이며, 탈구가 가장 많이 일어나는 부위는 월상골이다. 손 길이의 많은 부분이 중수골로 형성되며, 가각의 손가락은(엄지는 오직 근위부와 원위불 지골만 있어 제외한다) 근위, 중간, 원위부 지골을 갖는다. 근위부는 기저로서 간주되고, 원위부는 머리로 간주된다.
 
근육 해부학
손목과 손의 근육들은 광법위한 주변 환경과 요구 정도 하에 기능한다. 강하게 손을 쥐는 데 사용되는 동일 근육들이 또한 가장 정밀하게 세밀한 운동 기술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불린다. 손목에 작용하는 외부 근육은 손가락의 장근을 포함한다. 손과 손가락이 자연스럽게 이완된 자세는 약간 굴곡된 자세이다. 이러한 자세는 손가락 굴곡근의 상대적인 단축에 의해서 유발된다.
 
-손목과 손에 작용하는 내재근: 소지외전근, 단무지외전근, 무지내전근, 배측 골간근, 소지굴근, 단무지굴근, 충양근, 소지대립근, 무지대립근, 장측 골간근
-손목과 손에 작용하는 외재근: 장무지외전근, 단요축수근신근, 장요축수근신근, 척측수근신근, 지신근총, 단무지신근, 장무지신근, 요측수근굴근, 척측수근굴근, 심지굴근, 천지굴근, 장무지굴근, 장장근
 
수근관
손목과 손가락에 작용하는 근육들은 요수근 관절을 지나 수근관을 통과한다. 관의 바닥은 근위 수근골에 의해 형성되고, 관의 덮개는 횡수근인대에 의해 형성된다. 총 10개의 구조물이 관을 통과하며, 수근관을 통과하는 건의 염증은 이와 같이 고정된 공간 내에서 용량(volume)을 증가시킨다. 용량의 증가가 지속되면, 정중신경은 압박되고, 손에 신경학적 증상을 가져오게 된다. 
 
병력
통증의 위치: 손과 손목 관절은 위치가 매우 가깝기 때문에 병력-채취 과정이 좀 더 섬세할 필요가 있다. 또한 경추, 어깨, 팔꿈치, 전완의 외상은 손목과 손으로 통증을 방사시킬 수 있다. 요골, 척골, 정중 신경의 상해는 손에 특정 감각이나 운동 신경 분포로 증상을 방사시킬 수 있다.
 
손상의 기전:  급성 외상의 경우, 손상의 위치를 자세히 알기 위해서 손상의 원인을 면밀히 파악해야 한다. 통증 및 증상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활동이 무엇인지 알고 있어야 한다. 만성적으로 손의 손상을 갖는 환자를 평가할 때 통증이나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는 특정 자세에 대해 특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관련음이나 감각: 환자가 부상 중 경험했던 특정 소리나 느낌에 대해서 질문해야 한다. 방아쇠손가락의 골절, 탈구, 건의 부상은 “뚝”하는 소리와 느낌을 수반하는 염발음을 가질 수 있다. 
 
증상의 기간: 부상을 일으키는 원인과 증상의 기간을 관련지어야 한다. 심각한 통증이 감소하지 않고 유지되는 손목 통증은 주상골의 골절이나 삼각 섬유연골 복합체의 파열을 나타낼 수 있다. 
 
증상의 기술: 환자에게 느껴지는 증상을 표현하도록 요구하낟. “쑤심”이나 “욱신거림”으로 묘사되는 통증은 종종 관련 뼈나 연부조직의 외상과 관련이 있다. “타는 듯한” 또는 “따끔거림”등의 감각은 신경계 또는 혈관계통과 관련 있음을 나타낸다.
 
과거력: 이전의 부상기록과 유추하여 현재 발생된 기능의 손실을 판단한다.
 
일반적인 의학적 건강상태: 환자에게 기타 건강 상태에 관해 질문한다. 류마티스성 관절염과 같은 체계성 질환은 종종 신체의 다른 관절에 앞서 손가락에 영향을 미친다. 이 부위는 종종 말초혈관질환이나 레이노드에 의해서 가장 먼저 영향을 받는 부위이다.
 
병리학적 손가락 모양
-유인원 손(ape hand): 정중 신경의 억제는 무지구내의 근육 위축을 가져온다. 신전근들은 엄지를 손가락과 평행하게 끌고 환자가 엄지를 굴곡하고 대립할 수 있는 능력은 손실된다.
 
-비숍 변형: 척골 신경의 억제는 소지구, 골간근, 내측 두개의 충양근의 위축을 가져온다. 손가락은 제4와 5번 손가락에서 보다 뚜렷한 PIP와 DIP 관절에서의 굴곡 자세를 보인다. 또한 “benediction 변형”으로 알려져 있다.
 
-발톱 손: 척골신경과 정중 신경의 병리 결과로써 MCP관절의 신전과 PIP와 DIP 관절의 굴곡으로 나타난다.
 
-Dupuytem’s 구축: MCP와 PIP 관절의 굴곡 구축은 장측 근막의 단축이나 유착 또는 양쪽 모두에 의해서 유발된다. 이러한 상태는 대부분 흔하게 제4와 5번 손가락에 영향을 미친다.
 
-Swan-Neck 변형: MCP와 DIP 관절의 굴곡과 PIP 관절의 과신전으로 특징지워지는 swan-neck 변형은 광범위한 범주의 병리에 의해서 유발되는데, 그것은 손바닥 상해, 중지골의 부정유합 골절, 손가락 굴곡근이나 신전근의 외상, 류마티스성 관절염 등을 포함한다.
 
-Volkmann’s 허혈 구축: 전완 근육의 혈류 공급의 감소는 손목과 손가락의 굴곡 구축을 가져올 수 있다. Volkmann’s 구축은 전완 골절, 팔꿈치의 골절이나 탈구, 전완 구획 증후군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반응형

'운동 손상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의 손상학  (0) 2022.09.04
손목, 손, 손가락의 손상학 (2)  (0) 2022.09.03
팔꿈치와 전완의 손상학  (0) 2022.09.02
어깨와 상완의 손상학  (0) 2022.09.02
흉부와 복부의 손상학  (0) 2022.09.01

댓글